본문 바로가기

백준/C++

[Baekjoon/C++] 1920번 - 수 찾기

Baekjoon Online Judge

문제로 이동

 

문제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져 있을 때, 이 안에 X라는 정수가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 A[1], A[2], …, A[N]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M개의 수들이 주어지는데, 이 수들이 A안에 존재하는지 알아내면 된다. 모든 정수의 범위는 -231 보다 크거나 같고 231보다 작다.

 

출력

M개의 줄에 답을 출력한다. 존재하면 1을,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5
4 1 5 2 3
5
1 3 7 9 5
1
1
0
0
1

풀이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A[100000] = {};

// 이분탐색
int binarySearch(int key, int low, int high) {
	int mid;

	while (low <= high) {
		mid = (low + high) / 2;

		if (key == A[mid]) // 존재함
			return 1;
		else if (key > A[mid])
			low = mid + 1;
		else
			high = mid - 1;
	}

	return 0; // 존재하지 않음
}

int main() {
	int N;
	cin >> N;

	for (int i = 0; i < N; i++)
		scanf("%d", &A[i]);

	sort(A, A + N); // 정렬

	int M;
	cin >> M;

	// 숫자 찾기
	for (int i = 0; i < M; i++) {
		int num;
		scanf("%d", &num);

		printf("%d\n", binarySearch(num, 0, N - 1));
	}

	return 0;
}

이분탐색은 정렬되어 있는 배열을 반으로 나눠가면서 범위를 좁혀서 원하는 값을 찾는 탐색이다. 이분탐색으로 코드를 구현하기 위해 입력받은 정수들을 배열에 저장한 뒤 #include <algorithm>의 sort()로 정렬했다. 

 

int A[100000] = {};

// 이분탐색
int binarySearch(int key, int low, int high) {
	int mid;

	while (low <= high) {
		mid = (low + high) / 2;

		if (key == A[mid]) // 존재함
			return 1;
		else if (key > A[mid])
			low = mid + 1;
		else
			high = mid - 1;
	}

	return 0; // 존재하지 않음
}

이분탐색을 하는 함수를 구현해서 정렬되어 있는 배열에서 원하는 값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했다. 배열의 시작부터 증가하는 low와 배열의 끝에서부터 감소하는 high, 그 둘의 중간값인 mid가 함수에서 사용되었다. 만약 A[mid]가 찾는 값이라면 1을 return하게 되고, 찾는 값이 A[mid]보다 크거나 작다면 배열의 범위를 바꿔서 다시 반복문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다 low가 high보다 더 커지면 배열을 모두 찾아봤지만 찾는 숫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0을 return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