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준/C++

[Baekjoon/C++] 2748번 - 피보나치 수 2

[백준] Baekjoon Online Judge

문제로 이동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9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예제 출력
10 55

풀이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fibo[91] = { 0, 1, }; // 피보나치 수 저장

// n번째 피보나치 수 구하기
long long findFibo(int n) {
	if (n == 0 || n == 1) 
		return fibo[n];

	if (fibo[n] == 0)
		return fibo[n] = findFibo(n - 1) + findFibo(n - 2);
	
	return fibo[n];
}

int main() {
	int n; // 찾아야하는 n번째 피보나치 수
	cin >> n;

	// 출력
	cout << findFibo(n) << endl;

	return 0;
}

n의 최댓값은 90인데, 90번째 피보나치 수를 찾기 위해서는 90번째 피보나치 수 이전의 수들을 정말 많이 다시 계산해야 한다. 계산하는 횟수가 많은 만큼 시간도 엄청 걸리게 된다. 그렇기에 이미 구한 피보나치 수는 fibo[]에 저장해서 필요할 때 마다 배열에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90번째 피보나치 수는 너무 크기 때문에 int로는 그 수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long long을 사용했다.